'세상은 아는 만큼 보인다'라고 했다.
40살, 참 오래 살았다.
그러나 나는 아는 게 별로 없었다.
15년 전, 내 나이 40살.
부족함을 채우려 많은 강의를 들었다.
경영전략, 마케팅, 재테크, 글쓰기, 스피치 등등
한 번은 마케팅 강의를 들었다.
"강사님은 어쩜 저렇게 유식할까?"
강의를 들으면서 이런 생각을 했다.
내 옆자리에 40대 초반의 남성이 앉았다.
나이도 나와 비슷해 보였다.
쉬는 시간에 커피도 한잔하며 친해졌다.
마케팅 강의는 총 5주 강좌였다.
5주째 강의가 끝나고 함께 저녁식사를 했다.
그분은 작은 회사의 대표였다.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마케팅 강사에 대한 얘기를 했다.
"재테크 강사님 정말 유식하지요?
전 저분처럼 되기는 불가능할 것 같아요"
이렇게 말하는 나에게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물론 강사님 훌륭해요. 그러나 단지
우리보다 먼저 시작했을 뿐이에요.
전 이분보다 더 잘해낼 자신 있어요"
어떻게 저렇게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까?
난 당시에 그 말이 허풍이라고 생각했다.
1년 정도 지난 뒤
그분의 사무실에 찾아갔다.
그동안 익힌 다양한 마케팅전략으로
회사 매출이 전년대비 2배 이상 키웠다.
이분은 그때 그 강사에 못지 않은
마케팅 실력을 갖추고 있었다.
난 그의 일취월장하는 능력이 궁금했다.
"대표님, 저랑 저녁식사 하면서
강사보다 더 잘 할 수 있다고 한 말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었나요?"
그는 나에게 말없이 왼쪽을 가리켰다.
난 그가 가리킨 방향을 보았다.
벽에 걸린 큰 액자가 보였다.
그 액자에는 딱 다섯글자가 써 있었다.
"별거 없어요. 바로 저것 때문입니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모든 일은 오직 마음 먹기에 달렸다)
"전 저 말을 믿어요.
제 삶에 수없이 많이 경험했어요.
내가 믿는 대로 된다는 걸.."
지식이나 정보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삶을 더 윤택하게 만들 수 있다.
중요한 건, 내 마음의 자세다.
내 삶의 태도이다.
부동산 재테크 강의를 할 때
수강생의 자세에서 그들의 미래가 보인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고 보면 그 예측은 거의 맞다.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첫 번째. 자신을 믿지 못하고,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자
이 부류의 사람들은 자존감이 낮다.
그 누구도 뭐라고 하지 않는데,
스스로 자신의 한계를 정한다.
"제가 그걸 하는 건 무리예요"
"예전에도 해봤는데 전 힘들어요"
"자신이 없어요. 두려워요"
결국 자신의 이런 마음 때문에
행동으로 이어지지 못한다.
어렵게 시도해도
작은 난관에 부딪히면 쉽게 포기한다.
두 번째. 자신을 믿고,
행동으로 옮기는 자
이 부류의 사람들은 자존감이 높다.
수업 때 성공사례를 보여주면 이런 말을 한다.
"저도 충분히 잘 해낼 수 있어요"
"무엇부터 하면 되죠?"
"설레어요. 흥분돼요. 빨리 시작하고 싶어요"
나의 미래의 현실은 결국 내 마음 자세다.
내가 마음먹은 것이 결국 내 미래를 만든다.
꼭 기억하자.
아니 내 마음 깊숙이 새겨 넣자.
내 세포 하나하나에 각인하자.
'일체유심조'
'모든 것은 오직 마음먹기에 달렸다'
내가 가질 수 있는 최고의 무기는,
누구도 나에게서 뺏어갈 수 없는 무기는
인맥도, 배경도, 자격증도, 학력도, 재산도 아니다.
내 마음 '자세'다.
내 마음 '태도'다.
지금 내 책상 뒤에는
보물 1호 액자가 걸려있다.
나는 유약하다. 많이 흔들린다.
이것이 나를 강하게, 흔들리지 않게 잡아준다.
누구나 자기만의 삶의 방식과 속도가 있다.
자신만의 삶의 방식과 속도에
'일체유심조'를 깊숙이 안고 가자.
그럼 이전과는 다른 삶,
다른 결과를 맞이하게 될 거다.
나는 매일 아침에 와서 10번씩 읽고 쓴다.
내가 발견하고 경험한 인생의 절대 법칙이다.
일. 체. 유. 심. 조.
一. 切. 唯. 心. 造.
단희쌤의 힘이 되고 행복해지는 뉴스레터